부적은 동아시아를 대표하는 그림 문화다. 인도와 유럽이 진언(주문)과 축원 즉 말의 문화라면, 동아시아는 언어를 넘어선 기호를 추구한다.
동아시아 부적의 시원은 하도(河圖)와 낙서(洛書)다. 중국 문명의 시원기인 B.C 2,800년쯤에 복희는 황하에서 용마를 보게 된다. 그런데 용마의 등에는 바둑 같은 흑백의 그림이 있었다. 이를 '용마하도(龍馬河圖)'라 한다.
또 B.C 2,100년 무렵, 하나라 우왕은 황하의 지류인 낙수에서 거북을 보게 된다. 그런데 거북이의 등에도 흑백의 그림이 있었으니, 이를 '신귀낙서(神龜洛書)'라 한다.
이 하도와 낙서를 줄인 말이 '도서(圖書)'다. 도서는 흔히 책이라는 의미로 사용된다. 그래서 책을 모아 놓은 곳을 도서관이라고 하지 않던가! 그런데 이는 사실 그림이었다는 말씀.
그림이 왜 책이라는 의미가 되었을까? 당나라 장언원의 '역대명화기'에는 '글씨와 그림은 같은 기원을 가진다'는 '서화동원(書畫同源)'이라는 구절이 있다. 한자가 그림에서 기원한 상형문자라는 점을 상기해보면 이해가 쉽다.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3030314130004925?did=DA
스타벅스 로고는 현대판 부적인가?
부적은 동아시아를 대표하는 그림 문화다. 인도와 유럽이 진언(주문)과 축원 즉 말의 문화라면, 동아시아는 언어를 넘어선 기호를 추구한다. 동아시아 부적의 시원은 하도(河圖)와 낙서(洛書)다.
www.hankookilbo.com
'관심사 > 흥미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인 백화점 갈때, 이 국민 편의점 갔다…'극과 극' 韓관광 왜 (1) | 2023.04.26 |
---|---|
너도나도 ‘팁 줘!’ 미국인도 피곤해하는 팁 문화 (0) | 2023.04.05 |
마오타이 마시던 중국, 싱글 몰트에 빠졌다…이젠 위스키도 중국산 (0) | 2023.03.02 |
챗GPT에게 물었다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나?" (0) | 2023.02.09 |
“‘금강산 1만 2천 봉’은 가짜뉴스라네!”…‘조선의 팩트체커’ 성호 이익 (0) | 2023.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