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집안 남자들은 난생설화 속에서 태어났기 때문에 배꼽이 없다
그래서 탯줄 없는 남자들을 무슨 수로 잡아매나
밤하늘에 연줄 끊어진 연들처럼 떠돌고
우리집 나그네, 라는 친척 여자들의 말 속에는
모계사회의 전통가옥과 거미줄과 삐걱거리는 툇마루뿐
멀리 강원도 탄광에 갔다가 돌아오지 않는
우리 당숙도 죽어서는 새가 되어
가지 않고 밤마다 숙모의 꿈속에 내려와 운다
티베트에선 죽은 사람을 독수리 먹이로 던져준다는데
누가 우리 집안 여자들을 부려 새를 키우나
배꼽이 없는
그래서 세상에 아무 인연도 까닭도 없이
엄마는 부엌에 쭈그리고 앉아 피똥 싸듯 나를 낳았다
어서어서 자라서 훨훨 날아가라고 서둘러
날개옷 같은 하얀 배냇옷 한 벌을 지어놓았다
서른일곱에도 정착도 못하고 나는 지금도 어딜 싸돌아 다닌다
최금진 시인
1970년 충북 제천 출생
1997년 강원일보 신춘문예 당선
시집 < 새들의 역사>
2008 1회오장환문학상
지용문학상, <창작과 비평> 신인 시인상 수상
'관심사 >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성돔을 찾아서 / 윤성학 (0) | 2024.09.21 |
---|---|
누가 고양이 입속의 시를 꺼내 올까 / 최금진 (0) | 2024.09.20 |
철듦에 대하여 / 박철 (0) | 2024.09.20 |
목숨을 걸고 / 이광웅 (0) | 2024.09.19 |
김종삼의 시 (0) | 2024.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