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마음공부

영원한 여행 : <1> 사전 장례 의향서 작성

너럭바위 一石 2025. 4. 30. 17:23

누구나 언젠가는 죽는다. 그래서 죽음은 삶의 연장선상에 삶과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한다. 노화가 진행되면서 자연스럽게 서서히 다가오는 죽음도 있지만, 예기치 못한 사정으로 갑작스럽게 찾아오기도 한다. 우리 주변에 매일매일 일어나는 일이지만 막상 가까운 사람이나 가족의 죽음을 맞게 되면 마치 생소한 일인 것처럼 당황하게 된다.

 

죽음이 그리 멀지 않은 장래에 찾아올 나이가 되면 죽음을 맞게 될 본인은 물론 가족들도 죽음에 대해 미리 생각하고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나는 진작부터  기왕에 맞아야 할 죽음을 평안한 마음으로 맞이하는 데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마침 한국일보에서 시리즈로 다루는 관련 기사를 참고한다.

 

 

장례 준비를 위한 이별 노트

갑작스러운 혼란 속 가이드 역할

일본 종활’ ‘생전장도 참고할 만

 

이별노트(사전장례의향서)란?

 

장례 준비를 위한 이별 노트(사전장례의향서)’는 법적 효력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장례를 준비할 때 실질적인 가이드가 된다.

 

이별 노트에 포함되는 문항으로는

부고 대상(죽음을 알릴 대상)

장례 형식(종교적 관점)

장례 일수(보통은 3)

부의금(관례에 따를지, 받지 않을지 판단)과 조화

음식 대접(식사 메뉴, 금액)

장례용품(수의, 관 등),

장사 방법(매장, 화장, 화장 후 안치 등)

장지(최종 영면 장소)

장례 이후 종교 의례(49재 등)

기타 의견 등이다.

 

이렇게 본인이 원하는 장례를 직접 선택해 일러두면, 나중에 장례를 주관하는 사람이 심적 부담을 줄이고 갑작스럽게 마주한 상황에 대처할 때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우리 사회 장례의 의미

 

장례는 죽음을 수용하고(사전), 주검을 추스르며(진행), 죽음을 마음에 담는(사후) 행위다.

 

죽음이라는 큰 사건을 겪는 개인과 가족, 그리고 해당 공동체 전체에 의미를 부여하고 사회적 응집력을 다지며 상실의 아픔을 위무하는 정서적 돌봄까지 포함하는 의식이기에 더욱 중요하다. 때로는 상주가 자신의 힘을 과시하려는 모습을 띠며 정치화되기도 하고, 소비 재화로 전락해 마케팅의 한 수법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각자의 색깔로 치러지는 장례의 모습과 형식이 어떠하든, 죽음에 대해 성찰하고 삶에 대해 진지하게 음미하며 생()의 유한성을 실감하는 한편 삶을 온전히 돌아보는 장()이 된다.

 

 

일본의 종활(終活)

 

우리보다 일찍 초고령사회를 맞은 일본에서는 종활(인생을 마무리하고 죽음을 준비하는 활동) 산업 규모가 연간 5조엔(50조원)에 달한다. 종활은 사후 준비를 미리 스스로 해 두자는 취지인데, 장례식장 예약에서 봉안당 예약, 임종 후 지인들에게 연락할 방법까지 상세하게 설계돼 있다. 본인이 묻힐 장지 투어를 통해 함께 영면에 들 묘지 친구를 만들기도 한단다.

 

일본에서는 또 생전장(生前葬)을 열기도 한다. 생전에 친한 친구나 평소 신세를 졌던 사람들을 초청해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장례 문화다. 생전장을 하는 이유는 크게 3가지다. 첫 번째는 질병이 진행되기 전에 이별 인사를 하고 싶은 바람이고, 두 번째는 친족과 친구가 한자리에 모이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이며, 세 번째는 자녀 세대에 장례비용으로 폐를 끼치고 싶지 않은 마음이라고 한다. 최근 한국의 1인 가구 증가추세와 가족구조의 변화양상을 보면 남의 나라 일이라고만 치부하긴 어려울 것 같다.

 

미리 준비하는 이별, 내가 준비하는 장례

 

유수한 직책이 쓰인 조화 리본이 넓은 평수의 빈소를 뽐낸다. 화려한 꽃장식에 둘러싸여 명주 수의를 입고 최고급 오동나무 관에 실려 반짝이는 고급세단 리무진을 타고 가서 거대한 비석과 함께 영면한다고 성공한 삶이 되던가? 상주로서 효를 다한 일이 되는가?

 

불멸할 것이라는 착각 속에서 하루하루를 치열하게 살아내는 현대인들이 자신의 마지막을 대비하고, 죽음에 대한 소신을 갖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각자의 인생길에서 만난 통제 불가능한 일이 일어난 때를 떠올려보라. 생각은 갈피를 잃고 행동은 방향을 잃지 않던가. 오늘, 우리는 늦지 않았다. 생각을 행동으로 옮겨 이별 노트(사전장례의향서)를 작성해 보자.

 

출처 :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5030310230000155

 

'일상 > 마음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원한 여행 : <3> 다양한 안치 방법  (0) 2025.04.30
정명 [正名]  (0) 2024.11.24
우분투(줄루어: Ubuntu)  (1) 2024.10.23
거울  (0) 2024.06.18
더 나은 자신이 되기 위하여  (0) 2024.01.02